프레스 컨트롤, 우리말로 압력 조절, 다른 표현으로 힘 조절
많은 다른 운동들에서도 상당히 중요한 부분은 차지하고 있을 핵심 요소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스노보드에서 다루게 되는 힘 조절 중 일부를 소개하고 알아볼 것입니다.
힘 조절(Press Control)
이번 글에서 다룰 스노보드 힘 조절(Press Control)은 많은 분들이 착각하시는 다운이라는 말의 실체에 대해 이야기해 보겠습니다.
다운(Down)은 아래로, 바닥의, 자세를 낮추고, 엎드려 등으로 우리나라 말로 번역하면 참 다양한 의미를 가진 말입니다.
그렇다면 실제 스노보드에서는 어떻게 사용이 되고 무엇이 올바른 의미일까요?
많은 스노보더(snowboarder)들이 다운을 가압(힘을 준다)의 의미로 착각하십니다.
다운을 하면서 스노보드에 힘이 전달되는 듯한 느낌을 받아서 그런 거 같습니다.
그리고 또 많은 스노보더들이 다운을 자세를 낮춰 구부리는 동작으로 이해하시는 분들도 많습니다.
스노보드를 처음 배울 때 업다운을 알려준다 하면서 자세를 낮추라고 알려주시는 분들이 많기 때문일 겁니다.
이런 다운은 어느 정도 맞기도 틀리기도 합니다.
하지만 정확한 의미에서 이야기하자면 틀렸습니다.
다른 것이 아니라 틀린 것입니다.
조금 더 수학적으로 말하면 교집합은 존재합니다.
하지만 하나가 다른 것을 포함하지 못하고 아예 반대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런 차이를 정확하게 모른다면 특히나 중상급의 실력을 가지고 있다고 말하는 스노보더(snowboarder)들 라이더, 트릭커, 파커 등 가릴 것 없이 더 이상 나가지 못하는 벽이 생기게 됩니다.
더 이상 내가 아는 다운으로는 이해할 수 없는 부분들이 발생하기 때문입니다.
그렇다면 다운은 정말 무엇일까요?
바로 높이를 낮추는 것입니다.
조금 더 정확하게 이야기하면 우리 몸의 무게중심을 낮추는 것을 다운이라고 합니다.
즉 다운은 스노보드의 힘이 들어가는 것이랑은 직접적인 연관이 없습니다.
다운은 말 그대로 현상입니다.
전체적인 높이 즉 무게중심이 지면에 가까워지는가 아닌가를 가지고 다운이라고 말합니다.
조금 어렵나요?
간단히 예를 몇 가지 들어 보겠습니다.
스노보드 카빙을 하려고 우리는 기울기를 만들기 위해서 스노보드 밖으로 몸을 쓰려 뜨리면서 기울기를 만들었습니다.
여기서 우리는 다운을 한 걸까요?
네 맞습니다. 몸 자체가 기울어지면서 우리 몸의 무게중심은 조금 더 아래로 내려왔습니다. 다운을 한 겁니다.
그러면 이경우에 스노보드에 압력이 더 강해졌나요?
네 맞습니다. 그 이유가 다운 때문인가요?
그럴 수도 아닐 수도 있습니다. 우리는 기울기를 주면서 에지만으로 스노보드를 타려 할 거고 이로 인해 에지가 땅에 박혀 들어가면서 압력이 증가했을 겁니다.
앞에 눈 둔덕을 지나가기 위해서 순간적으로 몸을 구부리면서 둔덕을 타고 올라갔습니다.
다운을 한 걸까요?
네 맞습니다.
그럼 이 경우에는 스노보드에 힘을 준 건가요 뺀 건가요?
마지막으로 카빙을 하면서 다운을 하라는 소리에 몸을 더 굽혔더니 더 힘이 들어가면서 스노보드를 잘 탔습니다.
여기서 문제 우리는 다운을 한 걸까요?
맞을 수도 아닐 수도 있습니다.
여기서 카빙이 기울기만 가지고 하는 기초 카빙이었다면 위부분은 맞을 겁니다.
하지만 실제 어느 정도 몸의 각을 잡으면서 들어간 카빙이었다면
다운이 아닙니다.
이미 높이는 충분히 낮아져 있는 상황이기 때문이죠.
몸이 굽혀지면서 우리의 자세가 스노보드에서 오는 압력을 더 잘 받을 수 있는 자세가 되었기 때문에 카빙이 더 잘되었을 겁니다.
조금 감이 오시나요 결국 다운은 현상입니다.
그런데 많은 분들이 다운을 몸을 굽히는 자세 또는 힘을 가하는 자세로 착각하십니다.
실제도 다운을 해도 힘이 빠지는 일이 일어나고 다운을 하면 몸이 오히려 더 펴지는 일도 일어납니다.
이 개념을 정확히 숙지하셔야 스노보드의 고수로 나가는 지름길이 될 겁니다.
물론 스노보드를 실제로 엄청 잘 타시는 분들도 이런 개념에 대해서 정확히 인지하지 못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그리고 자신의 몸에 일어나는 현상을 이야기해줍니다.
하지만 스노보드에서는 보이고 느껴지는 현상이 정답이 아닐 경우가 많습니다.
힘 조절에 대해서 조금 더 정확하게 구별할 줄 안다면 자기가 원하는 스노보딩을 구사하는 것에 있어 유리할 겁니다.
단지 감각만이 아닌 이해를 바탕으로 스노보드를 탄다면 훨씬 더 빠른 성장을 할 수 있을 겁니다.
감사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