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스노우보드 타이밍, 힘 쓰는 방법2

by 보댕이 2021. 12. 29.

오늘은 조금 많이 어려운 이야기를 합니다.

하지만 이해한다면 스노보드의 새로운 길이 열릴 겁니다(?)

아시는지 모르겠지만 스노보드는 타이밍 운동이라고 불립니다. 즉 피지컬이 안 좋은 것은 받아줄지언정 박치에게는 슬픈 운동입니다.

 

그렇기에 스노보드에는 정확한 타이밍에 정확한 모션과 힘을 사용할 줄 알아야 합니다.

그렇다면 어느 타이밍에 스노보드에 힘을 어떻게 활용하는지 알아보고 이야기해보겠습니다.

 

일단 들어가기 전에 기본적으로 라이딩에 대한 타이밍으로 이야기 진행될 겁니다. 트릭이나 점프대 등은 공중에서 타이밍을 정할 수 있는 것이 너무 다양하기 때문에 제외하겠습니다. 물론 트릭에는 단 하나의 절대적인 타이밍이 있기는 합니다. 시작을 언제 할 것인지 어떤 타이밍에 이뤄져야 하는지인데요 요것도 어떤 트릭이냐에 따라 미묘하게 다르기 때문에 순서가 정립되어 있는 라이딩으로 이야기를 해보겠습니다.

 

초급 중급 상급을 나누는 기준으로 턴에서 힘을 쓰기 위한 움직임과 힘의 사용 방식을 알아보겠습니다.

 

들어가기 전 가볍게 용어 하나만 설명하겠습니다.

폴라인-최대 경사선, 조금 쉽게 설명하면 직활강이 되는 지점으로 이해해주시면 좋습니다.

 

가장 궁금해하시는 다운 동작으로 여기시는 굽히기 자세에서 힘의 방향성을 알아보겠습니다.

 

초급 턴

회전에서 폴라인이 지나고 난 후 굽히기 동작

굽히기 동작에 감속이 진행됨으로 굽히기 동작에서 힘을 받아내는 방식의 힘을 사용합니다.

여기서 대부분의 사람들이 굽히기 동작에서 힘이 들어오니까 다운과 힘을 주는일 등을 동일시하는 안타까운 일이 벌어집니다.

 

중급 턴

회전에서 폴라인 지나기 전에 굽히기 동작

턴의 중반부가 시작되는 시점에서 굽히기 동작이 진행하며 이른 다운 동작으로 조금 더 안정적인 턴을 만듭니다.

턴의 중반부는 원심력이 시작되는 부분으로 순간적으로 굽히기 동작으로 에지각이 커짐으로 회전력도 커지며 이른 자세의 완성으로 힘을 더 편하게 받아들일 수 있게 됩니다.

 

상급 턴

턴이 들어가면서부터 굽히기 동작

턴의 전반부부터 들어가는 굽히기 동작은 턴의 전반부에 스노보드의 방향성과 맞지 않는 힘을 해소해 주므로 스노보드의 전반부의 에지 설정을 부드럽게 해 줍니다.

더불어 이른 자세의 완성을 통해 힘이 들어오는 곳에서 힘을 온전히 전달받아 더 강하고 빠른 턴을 만들어 냅니다.

 

위의 기준은 일반적인 다운을 활용한 턴을 예시로 사용했습니다.

 

상급자를 기준으로 스노보드 턴의 전반 중반 후반을 나누고 해당 타이밍에 힘을 어떻게 활용할지 고민해보겠습니다.

스노보드 턴은 전반부 중반부 후반부로 나눠집니다.

 

턴의 전반부는 내가 원하는 속도와 턴의 반경을 위한 세팅을 하는 구간입니다.

내가 원하는 턴을 하기 위해서 필요한 속도와 에지각 등을 생각하고 설정하는 구간입니다.

 

턴의 중반부는 원하는 턴을 하기 위해서 설정한 세팅을 가지고 필요한 자세를 만들어 완성하고 우리의 자세와 압력을 활용하여 회전 만들어내는 즉 턴을 실행되는 구간입니다.

 

턴의 후반부에는 최대압력이 들어오고 그 압력을 다음 턴을 위한 전환 과정에 활용하는 단계입니다.

 

턴의 전 중 후반부에서 해야 할 일들이 다르기는 하지만 우리가 지금 다루는 힘을 생각해 보면 조금 간단해집니다.

우리가 스노보드에 힘을 가하고 빼는 방향은 스노보드에 수직적인 방향입니다.

턴의 전반부에서 볼 때 수직적인 힘은 스노보드의 가속과 설정을 방해합니다. 그렇기에 필요 없는 힘을 빼주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턴의 중반부는 회전을 만들어지고 턴이 이뤄지는 구간입니다. 필요한 회전 정도에 따라 스노보드에 수직적 힘을 더하거나 빼서 회전력을 만들어내야 하기 때문에 여기서는 내가 원하는 회전에 따라 힘을 더 할 수도 뺄 수도 있습니다.

 

턴의 후반부 내가 만든 턴이 완성되었고 내가 이 턴에서 만들어낸 최대 압력이 실려 있는 단계입니다. 이 힘을 그냥 해소할 수도 있고 아니면 방향성을 바꿔서 활용할 수도 있습니다. 이것은 여러분의 실력에 따라 달라지겠지만 최대압력보다는 작아지는 방향으로 힘을 쓰게 될 겁니다. 굽히기던 펴기던 힘을 가하는 것이 아니라 해소하기 위한 방향으로 사용되게 됩니다.

 

물론 이 부분은 제가 생각하기에 이상적인 방향으로 힘을 설정한 것입니다.

자신만의 기준으로 턴을 설정해서 힘을 어떻게 움직여 만들지 또는 어떤 방식으로 사용할지 생각해보고 활용한다면 훨씬 더 좋은 스노보딩을 할 수 있을 거라 생각합니다. 

 

이글이 스노보드를 타는 분들에게 어떤 방향성을 제시할 수 있으면 좋겠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