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노보드의 꽃이라 불리는 킥커(Kicker)를 이용한 에어 액션
이번 글에서는 드디어 첫 킥커를 이용한 점프를 다뤄보겠습니다.
아무래도 공중을 날아다녀야 해서 주의사항이 많지만 충분히 연습하고 단계별로 차근차근 익힌다면 하늘을 나는 즐거움을 익힐 수 있을 겁니다.
점프대(킥커)를 타기 전 익혀야 할 기술들
킥커를 뛰기 전 스노보드에서 필수적으로 익혀야 할 기술들을 설명하겠습니다.
활강
가장 먼저 우리는 충분한 직활강 또는 사활강을 할 줄 알아야 합니다.
이전 S자턴을 알려드리면서 가볍게 지나갔던 개념입니다만 킥커에서는 무엇보다 중요한 기술이 됩니다.
얼마나 정확히 활강을 할 줄 아느냐에 따라서 공중에서의 균형감이 달라지기 때문에 굉장히 중요한 부분입니다.
그럼 하는 방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
1. 활강은 에지를 사용하는 것이 아닌 스노보드의 바닥면인 베이스를 사용합니다.
2. 활강은 속도의 제어가 불가능합니다. 그렇기에 자세를 더 안정적으로 만드는 것이 중요합니다.
베이스를 활용하는 것은 말 그대로이기 때문에 추가로 설명할 부분이 없습니다. 에지가 아닌 바닥면 전체를 눈에 접설시켜 타는 것입니다.
자세를 안정적으로 만든다는 부분을 추가 설명하자면 우리가 스노보드를 타면서 가장 먼저 배우는 자세가 바로 스노보드의 기본자세라면 활강의 자세는 그보다 조금 더 낮아져야 합니다. 이때 중요한 점은 무게중심이 흔들리지 않을 정도여야 합니다.
자세가 낮아지는 것에만 신경 쓰다 보면 내 중심점이 스노보드 바깥으로 벗어나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평소보다 무릎을 굽히고 골반을 꺾어 낮은 자세를 취하대 자신의 몸의 중심이 스노보드를 벗어나 균형을 잃지 않도록 주의하면 됩니다.
추가로 스노보드의 활강의 방향과 발의 각도는 틀어져 있습니다.
우리가 몸을 활강의 방향으로 정면으로 선다면 스노보드에 로테이션이 작용 뒤틀림이 들어가 있을 수 있습니다.
이상태에서 킥을 뛰면 스노보드가 원치 않게 회전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렇기에 시선은 정면을 보되 몸의 각도는 활강하는 앞쪽의 발의 각도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는 정도가 좋습니다.
팝(Pop)
스노보드의 그라운드 트릭의 점프 동작 널리, 알리, 팝의 3가지 중 하나입니다.
이전에 널리 와 알리를 알려드렸습니다. 각 스노보드의 노즈와 테일을 탄성을 활용하여 점프하는 동작이었습니다.
이번에 알려드릴 팝은 처음 배울 때 스노보드의 탄성을 활용하는 것보다는 우리의 순수한 피지컬을 활용하여 점프하는 동작입니다.(물론 나중에 킥커나 가속을 이용해 스노보드 탄력을 추가로 얻기도 하지만 처음 배울 때입니다.)
동작은 아주 단순합니다.
1. 양 무릎을 굽히면서 자세를 낮춥니다.
2. 상체를 위로 뛰우면서 굽혔던 무릎을 펴 올려 점프합니다.
말 그대로 제자리 점프의 개념을 가지고 있으시면 좋습니다.
여기서 주의해야 할 점은 보드의 앞뒤가 동일하게 떠야 하는 것입니다. 점프가 될 때 스노보드가 한쪽으로 기울거나 회전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착지 동작
원래는 팝에서 랜딩을 하는 동작으로 같이 다룰까 했지만 킥커에서는 착지가 가장 중요한 동작이기 때문에 따로 분리했습니다.
우리가 킥커에서 아무리 이상하게 점프한다고 한들 착지만 정확하게 된다면 크게 상관이 없습니다.
하지만 착지가 정확히 되지 않는다면 조금 많이 아플 겁니다. 그리고 어린아이들 같은 경우 무릎에 충격에 계속 가해질 거기 때문에 굉장히 좋지 않습니다.
뭐 지금 이글에서 다루는 킥커는 큰 부상은 입지 않겠지만 나중에 점프에 충분히 익숙해지고 킥커의 크기가 커질 때는 정말 위험할 수 있기 때문에 반드시 정확히 익히고 올라가야 합니다.
착지 동작에서 중요한 점은 2가지입니다.
1. 착지를 하면서 무릎과 몸을 낮춰 스프링이 충격을 흡수하듯 땅에 떨어지는 충격을 흡수해야 합니다.
2. 착지 시 경사에 맞는 착지를 해야 합니다.
1번은 뭐 당연한 이야기입니다만 중심이 조금 벗어나더라도 자세를 낮추는 것을 최대한 길고 크게 해서 충분한 충격량을 흡수하도록 연습해야 합니다. 아무리 작은 킥커를 뛰더라도 몸에 익혀져 있어야 나중에 큰 킥커를 뛸 수 있습니다.
그럼 경사에 맞는 착지는 무슨 말이냐면 초급, 중급, 고급 등의 슬로프에 따라서 경사면이 다릅니다. 이는 킥커도 마찬가지여서 작은 킥커와 큰 킥커의 착지 지점의 경사는 다릅니다.
즉 경사면에 수평이 되도록 스노보드의 착지가 이뤄져야 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스노보드의 충격이 달라질 수도 있고 또는 에지나 회전이 걸려 넘어지게 되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주의해야 합니다.
마지막으로
각 활강, 팝, 착지 동작의 연습을 다양한 슬로프 경사에서 정확히 구사할 줄 아는 것이 좋습니다.
물론 처음 들어가는 킥커는 크지 않기 때문에 중급 경사 정도까지만 정확히 구사해도 충분할 수 있습니다.
너무 진지했을까요? 혹시나 필요한 정보가 충분히 전달되기를 바라는 마음에 조금 진지하게 썼습니다.
한 글에 다 담기에는 너무 내용이 길어져서 다음 글에 추가로 다루겠습니다.
댓글